관세사 자격증은 무역과 관세의 전문가를 꿈꾼다면 꼭 도전해 볼 만한 국가전문자격증입니다. 이 글에서는 관세사 자격증 시험과목, 최근 응시율 및 합격률, 관세사가 실제로 하는 일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.
1. 관세사가 하는 일
관세사는 관세·무역 분야의 국가공인 전문직으로, 다음과 같은 업무를 담당합니다.
- 수출입 통관 대행 및 관련 서류 작성, 행정 절차 수행
- 관세율표 분류, 세액계산 및 과세가격 확인
- 관세법령에 의한 이의신청, 심사/심판 청구 대리
- 관세 및 무역관련 상담(품목분류, 원산지 증명 등)
- 무역송장, 서류 작성 및 검역/검사 업무 대행
- 관세 환급 청구 및 관련 정책 자문
관세사의 역할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습니다. 수출입 회사의 성공적인 무역을 돕고, 법령 변화에 맞춘 컨설팅 등을 수행해 무역업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
2. 시험과목
관세사 시험은 1차(객관식)와 2차(논술 및 사례형)로 나누어져 있는데, 1차(객관식)와 2차(논술형) 모두 과목별 난이도 차이가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 최신 평균 점수와 수험생 체감 난이도를 정리했습니다.
✅ 1차 시험과목(객관식)
1교시 | 관세법개론(FTA 이행 특별법 포함), 무역영어 |
2교시 | 내국소비세법(부가가치세법, 개별소비세법, 주세법에 한함), 회계학(회계원리와 회계이론만 출제) |
- 과목별 40문제(5지선택형), 과목당 2.5점씩, 과락(40점 미만) 없이 평균 60점 이상 시 합격
✅ 2차 시험과목(논술/사례형)
1교시 | 관세법(환급특례법 포함) |
2교시 | 관세율표 및 상품학 |
3교시 | 관세평가 |
4교시 | 무역실무(대외무역법 및 외국환거래법 포함) |
- 주관식(논술 및 실무형), 각 교시의 과목 모두 40점 미만 없이 평균 60점 이상 시 합격
✅ 1차시험 과목별 난이도
- 2024년 평균 점수체감 난이도 및 특징
회계학 | 37.6점 | 계산, 실무적용 난이도 높음 / 가장어려운 과목으로 과락률 57.9% |
무역영어 | 46.3점 | 실무영어와 지문의 길이로 부담, 중간 난이도 |
관세법개론 | 50.3점 | 기본 개념 위주, 비교적 무난한 편 |
내국소비세법 | 55.2점 | 가장 평이함, 계산보다 개념 파악 중요 |
- 회계학이 1차 시험 최대 '고비'로 꼽히며, 대부분 지원자들이 어려워하는 과목입니다. 내국소비세법과 관세법개론은 상대적으로 점수가 높게 나오는 편입니다.
✅ 2차 시험 과목별 난이도
- 2024년 평균 점수체감 난이도 및 특징
관세율표 및 상품학 | 24.8점 | 가장어려운 과목으로 평점 및 과락률 최고 |
관세평가 | 33.1점 | 법령+사례 복합, 표준 난이도 |
무역실무 | 36.8점 | 실무+서술 복합, 중상 난이도 |
관세법 | 40.6점 | 상대적으로 평이, 논리력 중요, 2차에서 가장 많은 고득점자 발생 |
- 관세율표 및 상품학 과목은 특히 과락률이 70%에 달할 만큼 압도적으로 어려운 과목으로 꼽히며, 2차의 최대 난관으로 여겨집니다.
- 관세평가, 무역실무는 복합형 논술 문제와 실무 응용 요구로 준비 난도가 상당합니다.
- 관세법은 가장 평이한 과목으로 평가됩니다.
✅ 수험생 팁
- 1차 “회계학”, 2차 “관세율표 및 상품학”부터 집중적으로 장기 계획을 세워 접근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.
- 기출문제 반복과 변형 문제 해설 연습이 효율적인 합격 비결로 꼽힙니다.
- 주요 개정사항, 실무 흐름 파악도 병행하세요.
관세사 시험에서 과목별 난이도 편차가 매우 크며, 1차 “회계학”과 2차 “관세율표 및 상품학”이 압도적으로 어렵다는 수험생 평가와 실제 점수 결과가 일치합니다. 전략적으로 각 과목을 준비하는 것이 합격의 지름길입니다
3. 관세사 시험 응시율 및 합격률
- 2025년 1차 시험
응시자 | 1,412명 | 지원자 1,869명 |
응시율 | 75.54% | |
합격자 | 218명 | |
합격률 | 15.43% | 작년 25.42% 대비 10%p 하락 |
- 2024년 2차 시험
응시자 607명 / 합격자 90명
합격률: 14.83%
과목별로도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편이며, 특히 2차 시험은 과반이 과락하는 해도 많습니다.
관세사 자격증은 전문성과 실무성 모두 갖춘 명실상부 최고의 무역·통관 전문가 국가자격입니다. 매년 1,000여 명 이상이 도전하지만, 합격률은 15% 내외로 높은 경쟁률과 난이도가 특징입니다. 실제 업무는 통관 대행, 관세상담, 세액계산, 서류작성 등 무역현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. 관세사를 준비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기 바랍니다.
'자격증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환경미화원 응시자격, 체력시험, 면접시험 준비방법 (5) | 2025.08.03 |
---|---|
빅데이터분석기사 제10회 필기시험 일정 및 준비 방법(시험일 4월 5일) (0) | 2025.03.09 |